✟ 반동연 활동 | 성명서/논평/제안
지금까지 여성가족부가 국가부도위기 저출산 극복/해결을 위해 일해온 게 무엇인가요? 양성평등을 위한다며 남녀갈등을 부추기고, 이젠 성평등으로 젠더이론을 확산시키겠다구요?
2023-01-21 14:18:29 | 반동연 | 0 | 조회 2377 | 덧글 0

◇지금까지 여성가족부가 국가부도위기 저출산 극복/해결을 위해 일해온 게 무엇인가요?
양성평등을 위한다며 남녀갈등을 부추기고, 이젠 성평등으로 젠더이론을 확산시키겠다구요?

지금 여가부가 얼마나 국가부도위기 저출산 극복의 암초 역할하는지 알고나 계신가요?
엉뚱하게 성평등 강조하기 전 결혼&출산장려에 더 힘쓰십시오!
여성가족부를 해체하자는 여론도 많다는 걸 유념하십시오!!

[헤세드 결혼·출산방안 긴급제언]

【결혼 및 저출산·고령화 대책은 근본적으로 혁신돼야 합니다!!】

십수 년째 막대한 국가예산을 쏟아붓고 있음에도 결혼율이 높아지지 않고, 저출산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인구격감 및 경제활력 급저하의 국가적 재앙은 피할 수 없습니다. 혁명적 발상의 전환 없이는 저결혼·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더욱이 대통령입후보자들의 '여성가족부를 성평등가족부로의 개칭'이나 '성인지 교육 및 젠더 교육 강화'는 오히려 결혼·출산에 독이 될 우려

지금과 같은 중구난방식 지원정책으론 밑빠진 독에 물붓기일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의 방만한 정책/예산을 한 군데로 모아 선택·집중을 하고, 대대적인 국민운동으로 승화시켜야 합니다. 그 구체적 실행방안은

1. 만일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존치시킬 경우 <저출산사회위원회>와 <고령사회위원회>로 별도 특화돼 운영해야 합니다.
2. <여성가족부>를 폐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결혼출산가족부>를 신설해 결혼출산의 콘트롤타워가 되도록 힘을 실어줘야 합니다.
3. 민간이 주도하고 언론과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의 <나라 살리기 결혼출산국민운동>이 대대적으로 일어나야 합니다.
4. 중앙정부 및 지자체, 사기업, 국민이 합심해 <결혼출산기금펀드>를 조성해 붐을 일으켜야 합니다.
5. 민간주도로 공익개념의 <결혼면허증제도>를 실시하고, <민간결혼공사>를 설립해 누구나 어려움 없이 결혼할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합니다(현, 영리목적 결혼정보회사는 배제시켜야 함).
6. 결혼하는 신혼커플에겐 대폭 인상된 <결혼장려금>과 웨딩서비스 관련업체와 연계시킨 <저비용결혼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제도화시켜야 합니다.
7. <일-가정> 양립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사내(일정규모 이상 기업) 보육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하고, 영세기업을 위해선 지역단위로 설치·이용토록 하며, 국가예산으로 전폭 지원해야 합니다.
8. 저출산으로 인한 국가부도·저성장위기 속에서 임신·출산부에게 자긍심과 명예심을 높여 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불임부부지원을 넘어 임신·출산부에게 <애국시민증>을 수여하고, 다둥이를 낳는 애국가정에 <국가유공자>와 같은 특혜를 줘야 합니다(자녀수에 따라). 그래야 결혼출산에 대한 국민의식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습니다.

【102조 쓰고도 출산후퇴 … 새 대통령, 아베처럼 직접 나서야】
중아일보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백수진·이민영 기자 ssshin@joongang.co.kr 기사입력 2017.04.26 오전 3:01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E2%88%A3=sec&sid1=102&oid=025&aid=0002709757

25일 낮 서울의 한 유명 산부인과 병원 대기실. 좌석 12개가 텅 비어 있고 TV에서 나오는 야구 중계 소리만 요란하다. 병원의 한 직원은 “예전에는 외래진료를 보려면 2~3주 정도 기다려야 했는데, 올해는 당일에 방문해도 진료를 보는 데 전혀 지장이 없다”고 말했다. 이처럼 산부인과병원에선 올해 출산 아동 수가 사상 최저를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한국 정부가 2005년 합계출산율 1.08명을 계기로 2006년부터 1~3차 저출산·고령사회 대책을 내놨지만 출산율은 16년째 초저출산(1.3명 이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본(1989년 출산율 1.57명)이나 싱가포르(87년 1.62명)처럼 저출산 문제를 국가 존망을 좌우할 어젠다로 인식하고 지난해까지 102조4000억원을 썼는데도 출산율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

원인은 복합적이다. 우선 투입 예산의 80%가량이 보육에 편중돼 있다. 2010년 지방선거 이후 정치권의 포퓰리즘(인기영합주의)으로 보육 예산이 늘어났으며, 박근혜 정부때 0~5세 무상보육·무상양육이 완성됐다. 그런데도 ‘믿고 맡길 만한 시설’이 부족하다고 아우성이다. 보육교사 처우 개선이나 민간시설의 질 향상 등은 방치한 결과다.

또 대부분의 선진국이 도입한 아동수당이나 부모보험 같은 게 없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복지정책 지출은 1.38%로 프랑스(3.7%)·스웨덴(3.6%)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이들 국가와 달리 육아휴직·유연근무제·출산휴가·질병수당·부모보험·한부모 지원 등에 쓰는 비용이 그만큼 적다 .

일·가정 양립도 풀리지 않는 숙제다. 육아휴직제도(2년 사용) 자체는 세계 최고지만 회사 눈치 보느라 여전히 ‘그림의 떡’이다. 육아휴직 사용률(41%)이 선진국에 비하면 턱없이 낮다. 남성은 말할 것도 없다. 유연근무제 역시 마찬가지다. 월 60시간 미만 근로자, 캐디 등 특수고용직과 자영업자, 전업주부 등은 고용보험 가입 자격이 없어 육아휴직 사각지대에 빠져 있다. 권미경 육아정책연구소 정책연구실장은 “10년 전에 비하면 육아정책이 확대되고 예산도 증가했지만, 사회 분위기는 그만큼 따라오지 못했다”며 “지금도 육아휴직·탄력근무제 등의 제도가 있지만 ‘눈치 보인다’는 생각 때문에 이용률이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는 국가 지도자의 리더십이 핵심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두 차례밖에 주재하지 않았다. 보건복지부 산하 두 개 과가 전 부처의 저출산 대책을 챙기며 고군분투하지만 역부족이다. 일본은 총리실에 자녀육아본부(장관급 부처)를 두고 있고, 1억 총활약상(장관)이 본부장을 겸직한다.

10년을 내다보는 장기적 안목의 대책도 필요하다. 지금 초저출산 원년(2005년) 세대인 중학생들이 청년이 됐을 때 저출산의 덫에 빠지지 않게 교육제도 개혁, 대학 진학률 낮추기 등의 종합대책이 필요하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그동안 저출산 정책이 너무 보육·양육 지원 등 복지 위주로 갔다”며 “인구정책은 복지부 같은 실행 부처가 아니라 청와대나 국무조정실 같은 총괄기획 파트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또 “지금의 10대들이 청년이 되었을 때 보다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게 장기적으로 정책을 기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백수진·이민영 기자 ssshin@joongang.co.kr


https://m.cafe.daum.net/ahcs/eMTL/3?svc=cafeapp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E2%88%A3=sec&sid1=102&oid=025&aid=0002709757

99D78A33598458FE2D6051
202301211418100001.jpg202301211418200001.jpg202301211418200002.jpg
덧글목록 0개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십시오
답글쓰기
작성자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숫자)